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평년보다 최대 3℃가량 높은 대서양 수온이 허리케인 세력을 급격하게 키웠다고 분석했다.
29일(현지시간) AP통신,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멀리사는 열대저기압에서 가장 강력한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는데 단 4일 걸렸다. 일반적으로 열대저기압에서 허리케인으로 발달하기까지 대략 2주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단기간이 걸렸다.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NHC)는 "이번 폭풍은 통상적인 열대저기압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강해진 '급격한 강화' 사례"라고 발표했다.
단기간에 5등급으로 발달한 허리케인은 자메이카와 아이티, 쿠바 등을 차례로 강타하면서 전례없는 피해를 입혔다. 최대 시속 298㎞(185마일)에 달하는 강풍은 모든 시설을 부숴버렸다. 전신주와 나무는 뿌리 채 뽑혔고, 지붕은 모두 뜯겨나갔다. 강풍이 몰고온 폭우와 파도는 해안지역을 삼켜버렸다. 해안마을 곳곳은 모두 잠기고 지붕만 간신히 물밖으로 삐져나와 있고, 산사태로 주택과 도로가 붕괴됐다. 카리브해 섬나라들은 최소 수십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자메이카에서는 2만50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고, 쿠바에서는 73만5000명이 대피했다. 특히 자메이카에서 가장 피해가 심각한 지역인 블랙리버에서는 병원, 의회, 교회 등이 무너지면서 기반 시설이 사실상 붕괴했다. 자메이카 당국은 역대급 허리케인에 피해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자메이카 바로 옆 아이티에서도 25명 이상 숨지고 18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멀리사'는 지금까지 카리브해를 강타했던 허리케인들보다 훨씬 높은 강도였기 때문에 피해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었다. 멀리사가 올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발달한 원인은 '뜨거운 바다'에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이다. 바다의 폭염이라 일컫는 '해양 열파'로 인해 뜨거워질 바닷물이 열대저기압에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단시간에 세력이 커졌다는 것이다.
영국 레딩대 기상학자 악샤이 데오라스 박사는 "올해 대서양의 해수온 상승이 기록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폭풍을 키우는 연료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마이애미대 해양대기과학과 로버트 로즈 교수는 "(허리케인이 발달하는 동안) 카리브해 해수 온도가 평년보다 약 2~3℃ 높은 상태로 유지됐고 폭풍이 이 에너지를 빠르게 흡수했다"며 "이는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와 명확히 연결돼 있다는 반증"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해양온난화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세계기상기구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지구에 흡수된 과잉열의 약 90% 이상이 해양에 저장되고 있으며, 극지방을 제외한 연평균 해수면 온도는 20.8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2023~2024년 사이에는 대서양과 태평양 등에서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해양 열파가 관측되기도 했다. 우리나라 역시 1982~2020년 동해 해양열파 발생횟수와 발생일수가 각각 1.97회/년, 12.1일/년으로 증가하는 등 온난화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서양에서 비슷한 급의 폭풍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해양온난화가 허리케인 패턴을 바꾸고 있다고 과학계는 보고 있다. 다만 기후과학자들은 "이번 허리케인에 대한 원인은 아직 연구중"이라며 "기후변화가 직접적인 원인인지 여부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멀리사는 카리브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현재 1등급으로 세력이 약화된 채 북상중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조인준 기자 injun94@ 다른기사보기

































최신뉴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