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공사의 송전망 건설사업이 절반 이상 지연되고 있어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해도 제때 판매하지 못하는 등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포함된 총 54건의 송·변전설비 건설사업 중 30건(55%)이 계획했던 것보다 지연되거나 지연이 예상되는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업별로 보면 송전선로 29건 가운데 지연 4건, 지연예상 10건(48%), 변전소·변환소 건설 사업은 총 25건 중 지연 14건, 지연 예상 2건(64%)이다.
한전이 제출한 '송전선로 건설계획 대비 지연 현황'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집적지와 발전력 인출에 직접 연관된 주요 송·변전 사업의 준공 목표가 2030년 이후로 미뤄지거나 지연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일례로 동해안 대규모 발전력 연계를 위한 핵심 구간인 동해안-수도권 송전선은 당초 2019년 준공 목표였지만 공사가 7~8년 지연되면서 2026~2027년 말에야 준공될 예정이다. 또 해상풍력발전 요충지인 새만금·신안의 해상풍력 연계선의 경우 2031~2033년에야 준공될 것으로 예상돼 정부의 2030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에 맞추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 용인, 평택, 하남 등 3기 신도시 및 반도체 클러스터용 변전소 공사도 예정보다 3~5년 가량 지연되면서 전력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
한전은 공사 지연 사유로 주민 수용성 부족과 보상 지연 인허가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장기화, 재생에너지 연계사업 승인 지연, 부지확보 난항 등을 꼽았다. 이들 요인은 단기간에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충 계획을 막아서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박정 의원은 "송전망이 제때 깔리지 않으면 아무리 발전소를 세워도 전기를 팔아 공급할 수 없다"며 "정부와 한전은 송전망 사업을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해, 인허가 단축·공공참여 확대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조인준 기자 injun94@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