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북한산' 산행 유의...최근 3년간 산악사고 최다지역

사회 / 김나윤 기자 / 2023-04-07 11:16:29
서울 산악사고 구조활동 연평균 1854건 벌여
산악사고 절반은 북한산 등 4대 산에서 발생
▲북한산국립공원 산악안전봉사단원들이 낙석위험지역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에서 산악사고로 가장 많은 구조활동을 벌인 곳은 북한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은 총 5562건으로 연평균 1854건이 발생했는데, 이 기간동안 북한산 구조활동이 1205건으로 가장 많았다. 

북한산 다음으로 관악산이 817건으로 많았고, 도봉산 671건, 수락산 239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 4개의 산에서 있었던 구조활동을 합치면 전체의 52.7%로 과반이 넘는다.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이 가장 많았던 해는 지난해다. 지난해 구조활동은 1987건으로 2021년에 비해 157건(8.6%)이 증가했고 2020년에 비해 242건(13.9%)이 증가했다. 또 소방헬기가 출동한 산악사고는 총 626건으로 연평균 208.7건에 달했다. 

지난해 구조된 인원은 1295명으로 2021년 1238명, 2020년 1090명과 비교하면 각각 57명(4.6%), 205명(18.8%)이 증가했다. 소방헬기로 구조한 인원은 198명이다.

사고원인별로는 사고부상이 219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조난 986건, 개인질환 592건 등의 순이다.

월별 구조활동은 가을철인 10월(732건)과 9월(585건)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봄철인 4월(557건)과 5월(526건)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봄철을 맞아 산행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민안전확보 차원에서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는 5월 말일까지 '산악안전지킴이' 활동을 통해 주요 등산로 등에 간이응급의료소 설치, 유동 순찰 및 안전 산행 지도, 등산로 안전시설 관리 실태 확인 등 본격적인 봄철 산행 인구의 증가에 대비할 예정이다. '산악안전지킴이'는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 시민산악구조봉사대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아울러 등산객 조난사고 발생시 북한산 등 3개 산에 배치된 산악구조대 또는 소방서 구조대가 출동하여 드론을 활용한 효과적인 수색 및 24시간 구조활동을 전개하고 응급상황에는 소방헬기를 통한 긴급이송도 추진한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안전한 산행을 위해 날씨에 맞는 의상과 등산화를 착용해야 한다"며 "혹시 모를 위험상황에 대비해 스마트폰용 119신고앱을 설치해 사용법을 익혀둘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