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인데 40년 아름드리 가로수 '싹둑'...휑해진 영동대로 무슨 일이?

사회 / 이재은 기자 / 2024-06-14 15:07:53
▲얼마전까지 양버즘나무가 줄지어 늘어서 있던(왼쪽) 서울 삼성동 휘문고교 사거리 일대 가로수들이 모조리 베어져 있는 모습 ⓒnewstree


뙤약볕이 내리쬐는 폭염에 시원한 그늘 역할을 해주던 서울 영동대로 일대의 아름드리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들이 하루아침에 싹둑 잘려나갔다.

14일 서울 강남구 휘문고교사거리 일대 건물 3~4층 높이로 쭉쭉 뻗어있던 가로수들이 어느 날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밑둥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얼마전까지 30~40년 수령의 양버즘나무들이 줄지어 늘어서 있던 곳이다.

영동대교 하단에서 일원터널까지 뻗어있는 영동대로 가운데 삼성역에서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는 왕복 10차선 도로 양옆으로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가로수 덕분에 도심 한복판인데도 불구하고 마치 숲길을 걷는 듯 운치를 더했다. 

특히 삼성역과 대치동을 오가는 언덕길에 심어져 있던 이 가로수들은 요즘처럼 땡볕이 내리쬐는 날씨에 오가는 사람들의 땀을 식혀주는 그늘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런데 이 언덕길 양옆으로 심어져 있던 가로수들이 모조리 베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동부간선도로 대심도 지하화사업에 따른 조치"라고 밝혔다. 월릉교~대치동 12.2㎞ 구간에 왕복 4차선 지하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사전조치로 가로수를 정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지하도로는 오는 7월 첫 삽을 뜬다.

휘문고교사거리에서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일대는 지하도로 진출입 구간으로 조성된다. 이에 따라 각종 케이블을 설치하고 지반을 안정화하기 위해 이 일대 도로의 가로수 389그루를 정비한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봄철 알레르기와 겨울철 낙엽을 유발하는 양버즘나무 대신 느티나무 409그루를 심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느티나무가 식재될 때까지 이 일대는 가로수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서울시 강남구청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2028년 지하도로가 완공된 이후 지반이 완전히 다져지면 이후에나 가로수를 심을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앞으로 4년동안 이 일대를 지나는 사람들은 한여름 뙤약볕을 견뎌야 하는 상황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에서 10년 넘게 거주했다는 한 주민은 "삼성역에서 아파트까지 운동삼아 걸어다니던 길인데 가로수가 사라지고 나니 너무 더워서 걸을 수가 없다"면서 "이제 날씨가 점점 더워질텐데 앞으로 이 길을 걷는 대신 마을버스를 이용해야 할 것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