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
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리마인포(ClimaInfo)와 상파울루대학(USP) 환경정책연구센터는 공동 보고서를 통해 "기후위기를 완화한다는 명목 아래 다국적 기업과 금융기관이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현상을 '기후상품화(climate commodification)'라고 명명하면서 "기후대응이 생태보전보다 투자와 거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탄소배출권 거래나 복원사업이 지역사회에는 별다른 이익을 주지 못하면서, 오히려 토지권 침해나 생물다양성 훼손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탄소 흡수를 위해 나무를 심더라도, 지역 고유식물을 없애고 단일품종만 심는 방식이 많아 숲이 '탄소저장소'로만 취급되는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공동저자인 파울라 산투스(Paula Santos) 연구원은 "기후정의는 단순히 탄소를 줄이는 기술 문제가 아니라, 누가 이익을 얻고 누가 희생되는가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성을 내세우며 생태 파괴를 정당화하는 구조를 경계해야 한다"며, 돈보다 생태와 지역사회의 가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보고서를 "탄소시장 중심의 기후정책이 균형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경고"로 본다. 연구진은 기후 대응이 경제와 함께 가더라도, 지역사회와 생태를 희생시켜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도 기업 주도의 탄소중립 전략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감축 노력이 단순한 홍보나 이윤 수단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한다. 기후위기는 단순한 숫자나 거래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생태의 문제임을 이번 브라질 보고서는 다시 일깨운다.
이번 연구결과는 'Politicizing the Climate: Power, Territories, and Resistance' 시리즈에 수록된 것으로, 10월말 발간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김혜지 기자 gpwl0218@ 다른기사보기

































최신뉴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