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발전용량' 낮췄더니 비용절감에 탄소감축 '일석이조' 효과

경제 / 조인준 기자 / 2025-11-06 10:15:51
기후솔루션 제주사례를 통해 분석
1년6개월동안 45억 연료비 절감돼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보장해주는 '최소발전용량'(MG)을 줄일 경우 비용절감과 탄소감축까지 일석이조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솔루션이 6일 발간한 '제주 출력제어 사례로 본 최소발전용량 하향 조정의 편익'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화력발전소 최소발전용량을 줄였을 때 1년6개월동안 최대 1만174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고, 연료비도 최대 45억원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발전용량은 '환경규제를 준수하면서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개별 발전기가 유지해야 하는 최소 출력 수준'이라고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명시돼 있다. 이 최소발전용량은 석탄, 가스, 원자력 등 한국전력거래소가 중앙에서 출력을 통제 조정할 수 있는 발전기인 '중앙급전발전기'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이 발전기들은 최소출력값을 보장받고 있는 것이다. 

전력은 항상 공급과 수요가 일치해야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고 정전 등의 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러다보니 이들 발전소들은 최소발전용량을 지키기 위해 전력이 과잉공급되지 않도록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을 중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발전기의 최소발전용량은 평균 47% 수준으로 국제기구 권고수치인 20~40%를 상회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보고서는 2022년 9월~2024년 3월 제주 전력 데이터를 분석해, 정부가 2024년 4월 도입한 최소발전용량 하향 조치를 미리 적용했을 경우 효과를 계산했다. 당시 하향 조치는 발전기에 따라 달랐는데, 남제주 1,2호기는 최소발전용량을 60%에서 39%로, 제주기력 2,3호기는 42%에서 28%로, 제주내연1,2호기는 26%에서 24%, 제주복합 1,2호기는 78%에서 58%로 낮췄다.

그 결과, 해당 기간에 하향조치를 미리 도입했다면 약 17%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줄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최소발전용량을 국제권고수준인 20%까지 낮추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최대 7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약 8만5000가구가 한달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를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대체할 경우 최소 3044톤에서 최대 1만174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고, 연료비는 10억8100만원에서 최대 44억6900만원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후솔루션은 "이 수치는 제주계통에 한정한 수치로 127배에 달하는 육지계통 발전량을 고려하면 달성할 수 잇는 경제적, 환경적 효과는 훨씬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국제권고수준에 맞춰 제주 및 육지계통 모두에서 단계적 최소출력 하향 로드맵 수립, 발전기별 최소출력 산정 근거 공개 및 검증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소발전용량 하향 시나리오 별 재생에너지 발전량, 탄소감축량, 연료비용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